연봉 100만원 인상 계산, 실제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일까? [2025 최신 가이드]
연봉이 100만 원 인상되면 세전으로는 월 약 83,333원이 늘어나지만, 4대보험과 소득세(지방세 포함)를 고려하면 실수령 증가액은 한계세율에 따라 달라집니다. 보통 월 약 4만~7만 원 수준으로 체감됩니다. 아래에 계산식, 한계세율별 예시, 체크포인트와 팁을 정리했습니다.
목차
- 세전 계산: 월 얼마 늘어나는가?
- 세후 계산: 한계세율별 예시
- 계산 가정과 산식
- 체크포인트(상한·비과세·연말정산)
1. 세전 계산: 월 얼마 늘어나는가?
연봉 100만원 인상 → 월 세전 증가액 = 100만원 ÷ 12 = 83,333원. 단, 이 금액은 공제 전 수치이므로 실제 통장 입금액은 적게 느껴집니다.
2. 세후 계산: 한계세율별 예시
아래 표는 4대보험(근로자 부담)과 소득세·지방소득세를 단순화해 ‘증가분에만’ 적용한 근사값입니다. 2025년 일반 근로자 기준의 가정으로 계산했습니다.
한계세율 | 월 실수령 증가(근사) | 연 실수령 증가(근사) |
---|---|---|
6% | 약 70,000원 | 약 840,000원 |
15% | 약 61,700원 | 약 741,000원 |
24% | 약 53,500원 | 약 642,000원 |
35% | 약 43,400원 | 약 521,000원 |
표의 수치는 반올림된 근사치입니다. 실제 금액은 가구 구성, 공제항목, 비과세 수당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.
3. 계산 가정과 산식
본 계산은 ‘증가분에만’ 적용하는 방식으로 아래 가정을 사용했습니다:
- 국민연금(근로자 부담) 4.5%
- 건강보험 + 장기요양(근로자 부담 합계) 약 4.004%
- 고용보험 0.9%
- 소득세는 한계세율 적용,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%
사용한 산식(증가분 기준):
세후 월 증가액 ≈ 83,333 × { 1 − [ 0.09404 + (한계세율 × 1.1) ] }
예: 한계세율 15%인 경우 → 83,333 × {1 − [0.09404 + (0.15×1.1)=0.165]} ≈ 61,700원
4. 체크포인트: 개인별로 달라지는 이유
- 보험 상·하한 — 국민연금·건강보험의 상한·하한 적용 여부에 따라 증가분에 대한 보험료 변화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.
- 비과세 수당 — 식대·교통비 등 비과세 항목 비중이 크면 과세표준이 낮아져 세후 체감액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.
- 연말정산 — 원천징수는 추정치입니다. 연말정산 결과(공제 항목 반영)에 따라 환급 혹은 추가납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한계세율 이동 — 연봉 인상으로 인해 소득구간이 바뀌면 전체 실효세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간단 요약
연봉 100만원 인상은 세전으로 월 +83,333원이지만, 4대보험과 세금을 고려하면 대부분 근로자의 실수령 증가는 월 약 4만~7만 원 수준입니다. 15% 구간을 기준으로 약 월 61,700원의 추가 실수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팁정밀 계산을 원하시면 기본급, 각종 수당(비과세 포함), 부양가족 수, 현재 공제 항목(보험료, 신용카드, 의료비 등)을 알려주시면 월/연 단위의 세후·4대보험 항목별 계산표를 정확히 만들어 드리겠습니다.